본문 바로가기

검사도구4

[검사도구]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(FIM) 평가목적 -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장애를 측정하고자 개발되었으며(1993) 의료재활시스템에서 많이 활용 - 일상생활능력을 평가하는 기존 도구보다 의사소통과 인지기능측면에서 포괄적인 장애의 측정을 제공 평가대상 - 기능장애가 있는 성인 평가도구의 구성 - FIM 평가용지, 연필 평가내용 - 각 18가지 항목으로 구성 - 13개 항목은 운동을 강조 (자조관리, 조임근 조절, 기동성과 이동력 등) - 5개 항목은 인지를 강조 (의사소통, 사회적 인지) 평가시기 - 입원자료는 입원 후 72시간 내에 수집 - 퇴원자료는 퇴원 전 72시간 내에 수집 - 추적자료는 퇴원 후 80~180일 동안에 수집 평가방법 환자를 직접 관찰하여 평가한다. 평가 전에 각 항목의 정의를 주의 깊게 읽는다. 대상자에 대해 특정 항목에 .. 2022. 5. 4.
[검사도구] 부엌과제평가 Kitchen Task Assessment (KTA) Baum 등(1993)에 의해 개발 - 부엌에서 일어나는 활동과제를 바탕으로 조직화 능력, 계획능력, 판단기술 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항목 구성 - 간단한 음식 만들기 과제를 통해 6개 하위항목인 시작하기 능력, 조직력, 단계적 수행, 적절한 순서, 판단력, 안정성, 과제완성 능력 평가 평가 대상 치매를 동반한 노인 평가소요 시간 15분 점수 : 0~3점 0~3점 (4점 척도) 2022. 4. 30.
[평가도구] Arnadottir 작업-일상생활활동 신경행동학적 평가 (A-ONE) - 일상생활활동과 신경행동학적 손상의 종류, 장애 전도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개발 - Part1과 Part2로 구성 평가대상 16세 이상으로 뇌피질 손상에 의한 기능이상 자 Part 1 ADL과 신경학적 손상 : 5점 서열척도 (0~4점) 기능적 독립척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ADL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,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 기능적 독립척도 옷입고 벗기, 신변처리, 이동/보행, 식사, 의사소통 – 5가지 ADL영역에 대해 평가 신경행동손상척도 운동 실행증, 관념 실행증, 편측무시, 체성감각 실인증, 공간관계 지각장애,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, 보속증, 조직화 및 순서화, 지리적 지남력 장애 등 - 11가지 신경행동학적 손상 포함 Part 2 - 신경.. 2022. 4. 29.
[평가도구]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(AMPS) -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할 때 문제가 되는 운동 및 처리기술을 파악하고 자립정도측정 -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을 질적인 면으로 중심으로 평가 평가대상 진단명에 관계없이 3세 이상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 운동기술 - 과제수행 중, 자기 자신이나 물건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목적 지향적인 행동 - 16항목 : stabilizes, aligns, positions, walks, reaches, bends, coordination, manipulates, flows, moves, transports, lifts, calibrates, grips, endures, paces 처리기술 - 과제 수행 중에 다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목적 지향적인 행동 - 도구나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기 - 시간의 경과에 따라 .. 2022. 4. 28.